상세정보
노무현의 시작

노무현의 시작

저자
사람사는세상 노무현재단
출판사
바이펍
출판일
2015-05-20
등록일
2015-09-25
파일포맷
EPUB
파일크기
0
공급사
북큐브
지원기기
PC PHONE TABLET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현황
  • 보유 1
  • 대출 0
  • 예약 0

책소개

노무현에 관한 첫 구술기록집 《노무현의 시작》
1980년대,
‘시민 노무현’의 탄생에 관한 가장 뜨거운 책
1. 왜 《노무현의 시작》인가

이 책 《노무현의 시작》은 잘나가던 세속의 변호사에서 인권변호사로, 민주화운동의 야전사령관으로 변모해간 1980년대 노무현에 관한 첫 구술기록집이다.
노무현은 1981년 9월 부림사건 변론을 맡으며 인생의 전환기를 맞았다. 1978년 5월 부산에서 변호사 사무실을 개업한 지 3년을 넘긴 때였다. 노무현 자서전 《운명이다》의 1부 ‘출세’ 마지막 쪽엔 이런 대목이 나온다.
내 운명을 바꾸었던 ‘그 사건’을 만나고 나서야, 나는 판사로 변호사로 사는 동안 애써 억눌러 왔던 내면의 소리를 진지하게 듣게 되었다.(71쪽)
《운명이다》 2부 ‘꿈’에서는 부림사건을 시작으로 1988년 4월 13대 국회의원에 출마하기 전까지의 시기를 열아홉 쪽에 걸쳐 기술하고 있다. 다음은 그중 한 대목이다.
내 인생에서 가장 뜨거웠던 열정의 시기를 맞았다. 나는 막 학생운동에 뛰어든 청년처럼 민주화투쟁에 몰입했다.(85쪽)
당연한 말이지만, 한국 현대사는 물론 노무현의 일생에서도 중요한 변곡점으로 자리 잡고 있는 ‘가장 뜨거웠던 열정의 시기’의 공적·사적 면모와 사건을 열아홉 쪽이라는 분량에 다 기록할 수는 없는 일이다. 거기에는 몇 개의 문장으로 다 담지 못한 혹은 문단과 문단 사이의 건너뛸 수밖에 없는 많은 일이 있었다.
이 책은 바로 그 시기, 1981년 부림사건 변론 전후부터 1987년 6월항쟁을 관통하기까지 ‘변호인 노무현’의 면모와 궤적을 관계자들의 구술(口述)로 담았다.
2. 《노무현의 시작》, 기억과 기록 사이를 메우다
《노무현의 시작》은 1978년 변호사 개업에서 시작하여 1987년에 이르기까지, 만 32세에서 41세가 되는 동안 노무현이라는 사람이 왜 그런 선택을 했는지, 그리고 어떻게 그 길을 걸었는지 몇 줄의 기술이 아닌 좀 더 풍부한 구술을 통해 조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구술자들을 ‘변호사 사무실에서’ ‘민주화투쟁 현장에서’ ‘노동 현장에서’의 세 지점으로 분류했다. 언급되는 사례가 겹치기도 하지만 중심적인 부분은 각각의 지점에 기대어 있다. 예컨대 1장 ‘변호사 사무실에서’ 구술 가운데 부림사건 변론 전후 노무현의 변모 과정, 이후 사무실에서는 점점 얼굴 보기 힘들어지던 상황이 2장 ‘민주화투쟁 현장에서’를 통해 더욱 상세히 거론된다. 1장과 2장에 모두 등장하는 노동법률상담소를 중심으로 한 활동은 3장 ‘노동 현장에서’ 구술의 중심이 된다.
해당 시기를 함께하거나 처음 인연을 맺었던 구술자들의 기억과 증언은 원본 텍스트로써 자서전 또는 생전에 노무현이 남긴 말과 글에 풍성함과 생동감을 더해주고 있다. 구술기록이 가지는 미덕이기도 할 것이다.
또한 구술은 노 대통령의 생애와 시대를 풍성하고 생동감 있게 톺아보는 귀중한 사료이다. 주관적인 기억과 일정 수준 객관성을 담보로 하는 기록 사이 간극을 좁히고, 얽힌 부분을 풀어가는 일은 사료편찬사업의 소임이다. 사료 하나하나가 ‘노무현’이라는 큰 그림을 만드는 조각이라면, 구술을 중심으로 그 조각을 맞춰 변호인 노무현의 80년대를 그려낸 것이 《노무현의 시작》인 셈이다.
3. 노무현의 시작을 목격한 13인의 증언
노무현은 기록 대통령이었다. 자신의 삶에 대해서도 자필기록과 구술기록을 많이 남겼다. 1978년부터 1987년까지 시기를 대상으로 하고 있는 《노무현의 시작》은 자서전 《운명이다》에서 ‘내 인생에서 가장 뜨거웠던 열정의 시기’라 했던 ‘청년 노무현’의 이야기이기도 하다. 이 시기에 관한 공식적인 기록은 사실 생각보다 그리 많지 않다. 다행히 그와 인연을 맺었던 구술자들은 자신이 직접 접한 노무현의 모습을 전해주었다. 여기 《노무현의 시작》을 있게 해준 열세 명의 구술자들을 소개한다.
Ⅰ 변호사 사무실에서
■ 장원덕 - “이마에 주름살 세 개면, 이제 죽는 기라”
1978년 6월, 서른한 살 되던 해에 지인의 소개로 노무현을 찾았다. 1977년 9월부터 1978년 4월까지 대전지법에서 판사로 일하다 그해 5월 부산에 갓 사무실을 차린 노무현 변호사의 직원이 됐다. ‘노변’의 초기 시절을 누구보다 가까이서 지켜봤다. 1982년 노무현·문재인 합동법률사무소를 거쳐 1995년 법무법인 부산으로 법인체제가 정착된 후에도 사무국장을 맡아 2014년까지 36년간 근무했다.
■ 최병두 - “유치장에서 주무시고 있더랍니다”
문을 연 지 4년이 된 1982년 8월, 노무현 변호사 사무실에 취직한다. 노무현의 부산상고 3년 후배다. 변호사 노무현이 인권변호사로 활동을 시작해 민주화운동을 거쳐 1988년 13대 총선을 통해 정치권에 입문하기까지 과정을 접했다. 1989년 2월 사무장을 그만두기 전까지 사무실 운영을 도맡았다.
■ 송병곤 ? 두 번의 제안, “병곤아, 이 일 한번 해볼까?”
부산대학교 법대를 졸업한 송병곤은 1981년 벌어진 부림사건에 연루되어 피고인과 변호인으로 노무현을 만난다. 《여보, 나좀 도와줘》에는 당시의 상황이 기록되어 있다.
‘얼마나 고문을 당하고 충격을 받았는지 처음엔 변호사인 나조차 믿으려 하질 않았다. 공포에 질린 눈으로 슬금슬금 눈치를 살피는 것이었다. 한창 피어나야 할 한 젊은이의 그 처참한 모습이란…’
출소 후 ‘함께 일하자’는 노무현의 제안으로 1984년 4월부터 변호사 사무실로 출근하게 된다. 노동법률상담소 실무를 담당하다, 민주화운동에 대한 미련으로 1985년 말 사무실을 떠난다. 한 차례 더 구속을 겪은 후 1988년 문재인이 이끌던 노동법률상담소로 복귀했다. 2015년 현재까지 법무법인 부산의 사무장으로 근무하고 있다.
Ⅱ 민주화투쟁 현장에서
■ 고호석 - 부림사건, 한 사람이 변화한다는 것
부산 대동고등학교에서 영어 교사로 재직 중일 때 부림사건으로 강제 연행됐다. 변호인 접견실에서 노무현을 처음 만난다. 1983년 출소 후 부산민주시민협의회 사무차장, 민주헌법쟁취 국민운동 부산본부 사무국장 겸 상임집행위원으로 활동하며 ‘노변’과 부산 민주화운동의 현장을 지켰다. 1988년 교단으로 복귀한 후 전국교직원노동조합 활동 등을 거쳐 현재는 부산시교육청 시민교육협의회 부위원장을 맡고 있다. 노무현사료관에 일부를 공개한 그의 구술편집영상은 방문자 조회 수 1위를 기록 중이다.
■ 이호철 - 직접 운전하며 유인물 뿌리던 ‘야전사령관’
1982년 부림사건으로 구속된 후 법정에서 노무현을 처음 만났다. 1987년 6월항쟁 전후 부산민주시민협의회, 민주헌법쟁취 국민운동 부산본부 등에서 노무현과 함께 활동했다. 《여보, 나좀 도와줘》는 ‘부산민주시민협의회와 국민운동본부 일을 하면서 그 친구와 난 아주 호흡이 잘 맞는 파트너가 되었다’(217쪽)고 적고 있다. 1988년과 1992년 총선, 1995년 부산시장 선거, 2000년 총선, 2002년 대선에 이르기까지 주요 선거 과정에 참여했다. 초선의원 시절 보좌관을 맡았고 참여정부 들어 민정비서관, 제도개선비서관, 국정상황실장, 민정수석을 역임했다. 봉하마을에서 친환경생태농업, 마을 가꾸기 등 노 대통령의 퇴임 후 활동을 보좌했다.
■ 전점석 - 사회과학도서 한 권 안 읽은 변호사에서 투사로
1981년 부산YMCA에 입사해 사회개발부장, 시민중계실장으로 일했다. 노무현이 YMCA의 근로청소년학교, 무료법률상담 사업에 참여하면서 인연이 시작됐다. 1987년까지 부산에 있으며 평범한 변호사가 투사로 변해가는 과정을 지켜보았다. 진주YMCA 사무총장, 창원YMCA 총장으로 재직하다 2011년에 퇴임하여 현재는 경남협동조합협의회, 경남햇빛발전협동조합 이사장으로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다.
Ⅲ 노동 현장에서
■ 이재영 - “그때 노동법 공부 다 했다 그럽디다”
부산상고 후배로 학창 시절 특강하러 온 노무현을 먼발치서 본 적이 있다. 1985년 2월 부산의 신발공장 ‘세화상사’에서 노조를 결성하다 해고 노동자와 변호사로 다시 만났다. 1987년 민주헌법쟁취 국민운동 부산본부 노동문제특위, 1988년 노무현이 초대 소장을 맡은 부산노동문제연구소에서 간사로 활동했다. 초선의원 시절에는 노동문제 담당 비서로 상임위 활동을 보좌했으며 법무법인 부산에서도 근무했다. 대통령 당선 후에는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사회분과 전문위원을 역임하기도 했다. 대통령 서거 후 추모집 《노무현 내 마음의 대통령》을 묶어냈다.
■ 문성현·이혜자 - 서울대 상대 나온 노동자와 전태일을 만나다
1971년 서울대학교 경영학과에 입학한 문성현은 전태일을 접하면서 노동운동에 뛰어든다. 1985년 5월 창원에 소재한 방위산업체 ㈜통일의 노조위원장이 되고 얼마 후, 새벽에 집으로 들이닥친 경찰들에게 연행당한다. 그의 구명을 위해 아내 이혜자가 부산으로 노무현을 찾아가면서 처음 만남이 이루어졌다. 1994년 전국노동자협의회 사무총장, 1999년 민주노총 전국금속연맹위원장을 역임하며 노동운동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이 된다. 피고인과 변호인으로 시작된 인연은 그가 2006년 민주노동당 대표를 맡으면서 노무현의 정치인 시절, 대통령 재임기까지 길게 이어진다.
■ 장상훈 - 거제로 간 노무현, 대우조선, 첫 구속
부산대학교 약대를 졸업한 해인 1981년 부림사건으로 구속되면서 노무현을 만났다. 구속자 스물세 명 중 유일하게 집행유예로 풀려나, 고향인 거제 장승포에 ‘우당약국’을 차린다. 1984년 6월 1일 노무현의 주례로 결혼한다. 1986년 노무현의 장승포성당 강연에 참석한 것을 계기로 노동자들과 노동법 공부 모임을 시작한다. 이듬해 대우조선 이석규 열사 사건이 발생했을 때는 노무현과 함께 현장을 지켰다. 1995년 거제 시의원에 당선됐고, 2002년 대선 때는 거제시 선대위원장을 맡아 노무현을 도왔다. 2004년 거제에서 열린우리당 후보로 17대 총선에 출마, 한나라당 김기춘 후보와 맞붙기도 했다.
■ 조준식·이형로·김석동 - “사람을 잘 만났구나, 진짜로 진짜를 만났구나”
세 사람은 거제의 버스회사인 세일교통의 노동자였다. 1982년 12월 세일교통 노조를 결성하여 노조 삼총사로 불린다. 이 중 초대 노조위원장으로 선출된 조준식은 보안대에 수차례 끌려가 구타를 당하고 결국 이형로·김석동과 함께 해고당한다. 이들은 노무현을 만나기 위해 배를 타고 부산으로 향한다. 세일교통노조 변론 과정은 《여보, 나좀 도와줘》와 《운명이다》에도 기술되어 있다. 이 사건으로 노무현은 선거에서 운수업체 노동자들의 든든한 지원을 얻게 된다. 조준식은 1991년 거제시 초대 시의원을 지냈으며, 2002년 대선 경선 당시 거제에 방문한 노무현 후보를 수행하는 등 관계가 이어졌다.
개인의 기억과 체험을 바탕으로 하는 만큼 그들의 구술에는 더러 불명확한 부분이나 엇갈리는 대목 또한 없지 않다. 그럼에도 각자의 관계에서 풀어내는 그들의 이야기는, 무엇보다 우리가 아는 내용이건 몰랐던 내용이건 노무현을 새롭게 만나는 기회를 제공한다. 알고 있던 내용을 또 다른 측면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그동안 알지 못한 내용도 함께 접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렇다. 이 책을 계기로 노무현의 주요 시기와 사건에 관한 구술 모음집을 지속적으로 펴내려고 한다. 한 사람의 삶은 많은 관계의 집합이기도, 어떤 가치를 쌓아 나가는 과정이기도 할 것이다. 당연히 거기에는 많은 이야기가 자리 잡고 있을 것이다. 구술집을 통해 앞으로도 우리가 아는 노무현 그리고 또 다른 노무현을 확인하고, 그래서 많은 사람이 노무현을 새롭게 만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이를 통해 시간이 흘러도 잊지 않고 기억하도록, 또 이야기하고 되짚을 수 있도록 돕는 게 ‘기록’의 소명이자 ‘노무현사료편찬사업’의 의의라 믿는다.

연관도서 연관도서를 소개해드립니다!
저자동일

QUICKSERVICE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