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인간은 왜 불안한가?”
“남자와 여자는 왜 다른가?”
마르셀 프루스트의 섬세한 심리 묘사를 따라
미술과 문학, 심리학의 접속이 펼쳐내는 마음의 지도를 읽는다!
1.
예술적 상상력과 인문적 통찰력을 접목해 인문학적 사유를 일상에 밀착시키는 글쓰기를 활발히 해온 박홍순 저자의 신간이다. 미술과 문학 작품 속에 숨어 있는 심리학의 코드를 단초로 심리학의 핵심 주제에 대한 흥미로운 통찰이 돋보이는 책이다.
2.
이 책에서 저자는 심리학의 뿌리에 해당하는 프로이트를 비롯한 정신분석의 토양을 놓치지 않고 출발점으로 삼았다. 아울러 프로이트 이후에 새롭게 형성된 현대 심리학의 성과를 적극적으로 담아내 프로이트 심리학과 비교할 수 있도록 했다. 특히 불안감과 열등감, 남자와 여자의 심리 차이, 다중인격 등 많은 사람이 관심을 갖는 내밀한 심리상의 쟁점을 매개로 하되 심리학과 맞물려 있는 철학적·사회적 측면을 놓치지 않고 서술함으로써 교양으로서의 심리학에 대한 이해를 한층 풍부하게 만들었다.
3.
저자는 기존에 나온 다수의 심리학 서적에 적지 않은 아쉬움을 느꼈다. 심리학을 처세와 자기계발을 위한 도구로서 접근하거나, 사회적 요인과 거리를 두면서 힐링을 강조하는, 이른바 개인심리학 분야의 책들이 그런 경우다. 저자가 보기에 정신분석학이나 철학적·사회적 기반이 부족한 심리학은 그저 개인의 ‘고급스러운’ 취향이거나 잡다한 수다로 전락하기 십상이기 때문이다.
목차
저자의 말
미술과 문학으로 심리학을 만나다 05
1부 심리학이란 무엇인가?
1장 의식으로 사는가, 무의식으로 사는가? 15
퓌슬리 〈침묵〉, 카프카 《변신》, 프로이트 《정신분석강의》
인간이란 무엇인가?/ 무의식의 힘 / 의식과 이성만이 인간의 본질이라는 주장 /
무의식이 마음의 주인이다
2장 무의식은 어떻게 생겨먹었는가? 47
피츠제럴드〈꿈의 재료〉, 프루스트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프로이트 《자아와 이드》
무의식을 찾아 떠나는 프루스트의 길/ 마음의 구조를 이해하면 무의식이 보인다/ 마음의 구조를 찾아서
3장 무의식은 개인적인가, 사회적인가? 75
레핀〈이반뇌제와 아들〉, 볼핀치 《그리스로마 신화》, 아들러 《심리학이란 무엇인가》
광기는 어디에서 비롯되었는가? / 성적인 요인의 나르시시즘 / 개인심리학의 관점 / 나르시시즘을 권하는 사회
4장 심리학은 관념인가, 과학인가? 109
뵈클린〈바다의 별장〉, 최인훈 《구운몽》, 스티븐 핑커 《마음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심리현상의 분석 기준은 있는가? / 신화 해석의 다양성 / 꿈을 통한 무의식 일반화 /
진화이론을 통한 무의식 이해
2부 무의식이 개인의 마음을 흔들다
1장 인간은 왜 불안한가? 141
뭉크〈불안〉, 사르트르 《자유의 길》, 프리츠 리만 《불안의 심리》
인간은 불안한 존재/ 분리와 고립에서 오는 불안/ 죽음과 불안/ 세상에 내던져진 불안/
불안, 어찌할 것인가?
2장 무엇이 우리를 우울하게 하는가? 179
고흐〈귀를 붕대로 감은 자화상〉, 보들레르 《파리의 우울》, 크리스토퍼 레인 《만들어진 우울증》
우울증을 짊어지고 산 고흐/ 우울증은 왜 생기는가?/ 우울증과 자살 충동/ 만들어진 우울증
3장 열등감과 우월감은 왜 생기는가? 215
렘브란트〈사울과 다윗〉, 루쉰 《아Q정전》, 아들러 《삶의 과학》
열등감과 우월감에 빠지다/ 열등감, 우월감의 정체/ 피그말리온 효과/ 사회적으로 조장된 감정/ 어떻게 벗어날 것인가?
4장 사람은 왜 거짓말을 하는가? 249
티치아노〈아담과 이브〉, 몰리에르 《타르튀프》, 하틀리 《거짓말의 비밀》
거짓말로 시작된 인류?/ 거짓말은 자기애의 한 형태/ 우리는 모두 비밀이 있다/ 자기 거짓말을 믿다
5장 남자와 여자는 왜 다른가? 279
에이크〈아르놀피니 부부〉, 셰익스피어 《햄릿》, 프란츠 《개성화 과정》
너무나 다른 남자와 여자/ 화성 남자, 금성 여자?/ 성기 차이와 성격 차이 /남자와 여자의 정체성
3부 심리가 사회적 행동을 조종하다
1장 사람들은 왜 범죄를 저지르는가? 309
제리코〈도벽환자〉, 도스토예프스키 《죄와 벌》, 게일 살츠 《비밀스런 삶의 해부》
범죄와 악의 정당화/ 왜 악한 행위를 하는가?/ 누구나 범죄자가 될 수 있다/ 범죄와 ‘깨진 창문 이론’
2장 우리는 왜 지배하고 복종하는가? 335
호머〈허리케인 이후〉, 고골 《외투》, 밀그램 《권위에 대한 복종》
지배하고 복종하는 인간/ 권력 욕구와 복종 욕구/ 악의 평범성과 복종/ 전쟁을 통한 지배와 복종의 강화
3장 다중인격을 어떻게 볼 것인가? 363
키르히너〈밤거리 풍경〉, 스티븐슨 《지킬박사와 하이드》, 리타 카터 《다중인격의 심리학》
여러 개의 인격으로 살다/ 단일한 인격이라는 신화/ 분열된 자아로 사는 인간/ 다중인격을 권하는 현대사회
참고문헌 389